바람 약하고 냄새 난다면? 여름철 자동차 에어컨 필터 교체 방법·주기 총정리
여름철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차량 에어컨은 단순한 편의장비를 넘어선 생존 장비에 가깝다.
특히 출퇴근길 장시간 운전을 하는 이들에게는 시원한 실내 유지는 필수 요소지만, 에어컨을 켤 때마다 퀴퀴한 냄새가 나거나 바람이 약해졌다고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 이 경우 단순한 노화나 고장이 아니라 에어컨 필터의 오염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자동차의 에어컨 필터는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기 전 먼지나 꽃가루, 배기가스 등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필터가 더러워지면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될 뿐 아니라, 냄새와 함께 바람 세기도 약해지고 호흡기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에어컨 작동 시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눈·코가 자극을 받는다면,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염된 필터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 냉방 성능을 저하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연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컨이 더 오래 작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1만~1만5,000km 주행 또는 6개월~1년마다 한 번씩 필터를 교체할 것을 권장한다. 다만, 서울 등 미세먼지가 많은 대도시에서 자주 정체 구간을 지나는 운전자라면 이보다 더 짧은 주기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필터의 위치는 대부분 차량에서 조수석 글로브박스 뒤쪽에 자리잡고 있어 자가 점검 및 교체도 어렵지 않다. 차량 설명서나 관련 영상을 참고하면 셀프 교체가 가능하며, 교체용 필터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정기적으로 필터 상태를 점검하고 오염도를 확인하는 습관이다. 오염된 필터를 그대로 방치하면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해 차량 내부 공기를 오염시킬 뿐 아니라, 장시간 운전 시 두통이나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향기로 실내 냄새를 덮으려 하기보다는, 악취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쾌적한 환경은 물론 운전자의 건강까지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