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보조금까지?" SKT 위약금 면제·5,000억 보상에 KT·LGU+ '공포 마케팅' 도 넘었다
SK텔레콤이 지난 4월 발생한 해킹 사고에 대한 보상으로 위약금 면제를 결정하면서 통신 시장이 급격한 고객 이동 경쟁으로 들썩이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일부 경쟁사와 유통 채널의 과도한 '공포 마케팅'이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자녀를 언급하며 고객 불안을 부추기는 사례까지 확인되며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번 위약금 면제는 4월 19일 이후 SK텔레콤을 해지했거나, 이달 14일까지 해지 예정인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약정 위약금뿐 아니라 공시지원금 반환금, 선택약정 할인 반환금까지 모두 면제되며, 이미 납부한 고객에겐 환급이 이뤄진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를 계기로 경쟁사들은 번호이동 수요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통신사 유통망 일부에서는 "지금 안 바꾸면 내 결정이 아이에게 피해가 간다", "가만히 있는 것이 가장 위험한 선택"이라는 자극적 멘트가 담긴 고객 응대 시나리오가 등장했다.
한 대리점은 "SKT가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더 이상 막을 수 없기 때문"이라는 문구를 활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행태는 정부와 민간이 함께한 합동 조사에서 2차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공식 발표와도 상충되는 부분이다. 특히, 이번 사태를 상업적 기회로 삼아 비방과 불법 보조금까지 동원하는 마케팅은 고객 보호보다 상업적 이익에만 몰두한 무책임한 행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일부 대리점에서는 "SKT 위약금 면제 확정! 쓰던 폰 그대로 오세요"와 같은 문구로 고객을 유인했으며, 최근 강변 테크노마트에서는 출고가 135만원이 넘는 갤럭시 S25가 번호이동 조건으로 5만원~15만원대에 판매되는 등 공시지원금 외에 80만원에 달하는 불법 보조금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번 사태는 통신사 간 위기 대응 방식의 차이를 부각시키는 계기로도 작용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23년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 당시 약 29만 명의 피해자에게 월 550원 상당의 스팸 차단 유료 서비스를 무료 제공한 것이 전부였다. 심지어 KT는 지난 2012년과 2014년 두 차례 해킹으로 2,000만 명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지만 당시 별다른 고객 보상책을 내놓지 않았다.
반면, SK텔레콤은 이번 사태에 대해 약정 해지 위약금 전액 면제뿐 아니라, 오는 8월 전체 고객의 통신 요금을 50% 자동 할인하고, 연말까지 매달 50GB의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하는 등 총 5,000억 원 규모의 '고객 감사 패키지'를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실질적 보상안을 발표한 SK텔레콤과 달리, 경쟁사들의 행태는 공정성을 넘어섰다는 지적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위약금 면제는 고객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한 조치였으나, 경쟁사들이 이를 고객 불안을 자극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고객 이탈도 나타나고 있다. SK텔레콤이 위약금 환급 계획을 발표한 다음 날인 7월 5일, SKT에서 KT와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고객은 총 1만660명에 달하며, 이는 평소 대비 약 2배 수준이다. 하지만 같은 날 SK텔레콤에 새로 유입된 고객도 6,795명에 이르러 순감 기준으로는 3,865명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 이번 SK텔레콤의 위약금 면제 조치는 오는 7월 14일까지 적용되며, 그 전까지 통신 3사간 고객 유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마케팅 수위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