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2분기 영업익 6,391억 전년대비 46.6% 감소
LG전자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6391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에 비해 46.6%가 감소한 것이다.
잠정 실적에 따르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도 20조7,400억 원으로 4.4%가 감소했다.
주요 시장의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데다 2분기 들어 본격화된 미국 통상정책 변화가 관세 비용 부담과 시장 내 경쟁심화로 이어지는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사업부문별로는 주력인 생활가전이나 B2B(기업간거래) 성장을 주도하는 전장, 냉난방공조 사업은 비교적 선방하며 건전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다만 MS사업본부의 수요 위축, LCD 가격 상승, 경쟁 심화에 따른 마케팅비 증가 등이 전사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또, 대미 보편관세 및 철강. 알루미늄 파생관세와 물류비 등 비용 증가분도 수익성에 영향을 줬다.
LG전자는 하반기에 전장, 냉난방공조 등 B2B, 구독, webOS 등 Non-HW, LGE.COM의 D2C(소비자직접판매)로 대표되는 ‘질적 성장’ 영역에 더욱 집중하며 사업의 펀더멘털을 견고히 유지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B2B는 수요. 가격 변동성이 낮고 거래선과 관계를 기반으로 한 솔루션 사업 확장 및 진입장벽 구축에 유리하며, Non-HW는 반복적 매출 구조과 높은 수익률 달성에, D2C는 수익구조 개선 및 브랜드 가치 제고 등에 유리하다.
생활가전 사업은 하반기에 작년 하반기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줬던 물류비 부담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매출 확보와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운영을 통해 건전한 수익구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은 무선 신제품 출시 등으로 프리미엄 제품군인 올레드 TV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게임, 예술 등 다양한 신규 콘텐츠 확대로 webOS 플랫폼 경쟁력도 꾸준히 강화할 계획이다.
전장 사업은 하반기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중심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차량용 콘텐츠 플랫폼 등으로 사업모델을 다각화하며 매출과 수익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냉난방공조(HVAC) 사업은 상업용 공조시스템 및 산업/발전용 냉방기 칠러(Chiller) 등에서 AIDC 등 사업기회 확보에 더욱 속도를 낼 예정이다.
최근 인수 계약을 체결한 유럽 온수 솔루션 기업 OSO社의 인수를 마무리하고, 시너지 창출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유럽 AWHP(Air to Water Heat Pump) 시장 공략 역시 본격화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5년도 2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경영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