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EV5 가격 이대로 괜찮을까? 경쟁 모델과 비교해보니

 사진 : 기아 EV5

국내 전기차 시장에 출격 대기 중인 기아 EV5의 가격 경쟁력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문이 커지고 있다.

특히 테슬라 모델Y, 폭스바겐 ID.4 등 경쟁 모델과 비교했을 때 실구매가 기준에서 매력적인 대안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경쟁 모델인 테슬라 모델Y는 ‘주니퍼’로 알려진 새로운 트림의 기준가가 5,299만원이며, 정부 보조금 수령 시 실구매가는 5천만원 초반대로 내려간다. 또 폭스바겐 ID.4 프로 모델은 5,990만원에서 시작하지만 프로모션 할인과 보조금 적용 시 4천만원대 중후반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반면, EV5는 중국형 LFP 배터리 기반 저가 모델이 아닌, NCM(삼원계 리튬) 배터리를 탑재해 국내 판매 가격은 스탠다드 5,000만원대 초반, 롱레인지 5천만원대 중반대에 책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아 EV5
기아 EV5

여기에 롱레인지 모델에 빌트인캠, 드라이브와이즈, 등 소비자가 원하는 사양을 추가할 경우 실구매가가 5천만원 중후반대의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즉, EV5의 포지셔닝은 성능 기반의 퍼포먼스 차량이 아닌 일상에서 타고 다니는 대중적인 패밀리카인데, 중국에서 판매하는 대로 가격이 저렴한 LFP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을 출시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더 낫다는 것이다.

실제로 EV3를 구매한 20대 소비자 A씨는 "EV3 풀옵션 실구매가가 4천만원을 넘었고, 친구들은 그 돈이면 스포티지나 쏘렌토를 산다고 말한다"며, "전기차의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차량 크기와 상품성을 고려하면 EV5는 너무 비쌀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신형 모델Y 전면뷰
신형 모델Y 전면뷰

기아는 EV3, EV4, EV6, EV9 등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을 갖추고 있지만, 현재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모델은 테슬라 '모델 Y'다.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 기아가 프리미엄 전략을 고수하며 NCM 기반 전기차를 주력으로 삼는 것은 소비자 선택지의 폭을 좁힌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A씨는 "LFP 기반 저가형 모델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보조금을 줄이고 가격이 비싼 NCM 차량만 밀어주는 구조는 제조사나 소비자 모두에게 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과연 국내 출시되는 EV5의 NCM 배터리 탑재가 어떤 결과를 불러일으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