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전기차용 배터리 직접 설계. 위탁제조 생산 추진

 이미지: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

이미지: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

 

  현대자동차그룹이 향후 전기차용 배터리를 직접 설계, 개발 배터리업체에 위탁제조를 추진한다.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8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주최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에서 안전하고 성능이 뛰어난 고품질의 배터리셀 공급을 위해 배터리를 직접 설계, 이를 위탁 제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정실장은 배터리셀 설계, 생산은 기본적으로 배터리전문업체의 몫이지만 완성차업체도 전기차의 안정적인 생산, 공급을 위해서는 배터리를 잘 알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기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NCM(리튬이온배터리) 배터리 외에 LFP(리툼인산철) 등 다양한 배터리를 개발 중이며, 배터리 형태도 파우치형과 각형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고,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의 차세대 버전도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해 BMS(배터리관리시스템)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 충전, 주행시는 물론, 주차상태에서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도 도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당장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향후 발생 가능한 부부까지 예측, 사전에 입고 조치하고, 관련 데이터들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 원격진단 하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이 도입을 추진하는 로봇의 근간도 배터리이기 때문에 탑재공간이 적으면서도 강한 힘을 발휘하는 배터리와 UAM(도심항공교통)용 배터리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정실장은 현대차는 배터리 안전 확보 관점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 구축을 기본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있고, 이러한 다중 안전망을 통해 고객 절대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배터리 기술의 차별화를 달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