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매출 48조 돌파에도… 현대차 영업이익 뚝 떨어졌다
현대자동차가 올 2분기 매출 7.3% 증가에도 불구,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에 비해 15.8%가 줄었다. 미국의 수입차 관세 25% 부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주요 원인이다.
현대차는 지난 달 24일 2분기 경영실적 발표에서 도매 판매 106만5,836대, 매출액 48조2,867억원(자동차 37조 302억원, 금융 및 기타 11조 2,564억원), 영업이익 3조6,016억 원, 경상이익 4조 3,853억 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7.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8%, 순이익은 22.1%가 줄었다.
현대차의 2분기 매출액은 역대 최대 기록으로,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 설명했다.
현대차는 2분기에 북미 시장의 판매 호조와 함께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이어 나갔다. 2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동기 대비 2.4% 오른 1,404원을 나타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및 연구비용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매보증비용의 감소로,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11.4%를 나타냈다.
그 결과,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5.8% 감소한 3조 6,016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7.5%를 기록했다. 이러한 이익률 감소는 미국의 관세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결과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 3,853억원, 3조 2,504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의 2025년 상반기 실적은 매출은 8.2% 증가한 92조6,944억 원, 영업이익은 7.7% 감소한 7조2,352억 원, 순이익은 12.2% 줄어든 6조6,325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현대차는 하반기에도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동 방향성에 따른 손익 영향도 등이 경영 활동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신흥 시장 중심 판매 둔화가 이어지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하반기에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현대차는 연초에 발표한 ’25년 가이던스를 잠정 유지하고, 8월 1일에 발표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을 기반으로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책을 적극 실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현대차는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과감한 혁신으로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