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 전기차 화재 1년, 대여 차량 130여대 반납 임박…보상 책임은?

 8일 오전 인천 서구 한 공업사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벤츠 등 관계자들이 지난 1일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에 대한 2차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8일 오전 인천 서구 한 공업사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벤츠 등 관계자들이 지난 1일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에 대한 2차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작년 여름 발생한 인천 청라 아파트 전기차 화재 사건에 대해 사고 피해 보상 책임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금 나오고 있다.

당시 화재 차량의 CCTV 영상에서 배터리 부위에서 흰 연기가 피어오르는 장면이 포착되며, 일각에서는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의 결함이 화재 원인이라는 의혹이 제기돼왔다. 

그러나 사건을 맡은 인천경찰청은 4개월 간 벤츠코리아 사무실과 관련 장소 4곳에 대한 압수수색, 세 차례의 합동 감식 등을 진행했음에도 명확한 발화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

화재 책임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 중국산 파라시스 배터리도 조사 결과 문제의 단서조차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경찰은 외부 전문가 자문까지 받았지만, 화재 원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원인 불명’ 결론에 도달했다.

청라 아파트 화재 전기차 2차 합동 감식(출처: 연합뉴스)
청라 아파트 화재 전기차 2차 합동 감식(출처: 연합뉴스)

한편, 벤츠코리아는 수사 결과 발표 직후 자사 결함이 아닌 경우에도 책임 있는 부분이 있다면 보상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피해 복구를 위해 45억 원을 기부했으며, 피해 주민들에게 1년 계약 조건으로 130여대의 대체 차량을 제공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차량들의 계약 기간이 만료 시점에 다다르면서, 만기 후 차량 회수 방침과 대체 방안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재 원인이 여전히 불명으로 남아 있는 만큼, 발생한 막대한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 합동 감식 (출처=연합뉴스)
사진 :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 화재 합동 감식 (출처=연합뉴스)

특히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벤츠코리아가 계속해서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갑론을박이 커질 전망이다.

한편, 화재로 입은 실질적 피해는 막대하다. 입원 치료를 받은 주민은 23명, 이 중 3명은 상해진단서를 제출했으며, 주차된 차량 87대가 전소되고 793대가 그을림 피해를 입었다. 

아파트 735세대의 전력 공급이 끊기며 주민 수백 명이 인근 시설에 임시 거주해야 했고, 전체 피해 규모는 최대 1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